GeoEcoKorea (GEK)는 연구 시료 채집 및 시추 장소 기반 메타데이터 체계를 바탕으로, 국내 고환경 연구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정리·관리합니다. 모든 데이터는 연구 지점을 기준으로 구성되며, 표준화된 메타데이터 형식에 따라 통일성 있게 관리됩니다.
GEK의 연구 지점 기반 인벤토리는 데이터의 구조화, 상호 연계성 확보, 활용도 재고를 위한 핵심 도구로 작동하며, 이를 통해 한국의 고환경 데이터가 국제 데이터 공유 체계 내에서 보다 원활하게 상호운용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본 페이지에서는 GEK의 데이터 출처 분류, 인벤토리 구성 방식, 데이터 공유 및 관리 정책 등을 소개합니다.
GEK는 다음 두 종류의 출판물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구성합니다:
모든 데이터는 사이트 기반 인벤토리 체계로 관리되며, 각 지점은 고유 식별자를 갖고 다음 정보와 연결됩니다:
위는 GEK 데이터베이스의 ERD(Entity–Relationship Diagram)를 나타낸 것입니다. 이 구조는 지점 인벤토리, 연대 데이터, 출판 메타데이터 세 요소를 Site_ID
를 통해 연결합니다.
현재 구조는 초기 모델이며, 향후 데이터 축적에 따라 화분, 지화학, 규조류 등 프록시 데이터까지 통합하는 방향으로 확장될 예정입니다.
GEK는 열린 과학(Open Science) 원칙을 지지합니다. GEK의 데이터 공유 정책은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 4.0 International 라이선스를 따릅니다 (CC-BY-NC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