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EcoKorea(GEK)는 한반도에서 수행된 고환경 및 고생태 연구 데이터를 보다 쉽게 접근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며, 장기적으로 보존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오픈 액세스 데이터베이스입니다.
한국의 많은 연구자들은 그동안 다양한 고환경 연구를 통해 한반도의 기후 및 생태 변화 기록을 축적해왔습니다. 하지만 이들 데이터는 대부분 논문 속에 흩어져 있어 상호 비교나 종합적 활용에 제약이 따랐습니다.
GEK는 메타데이터, 연구 지점 정보, 연대 자료 등을 통합해, 누구나 쉽게 찾고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한국의 고생태 데이터가 동아시아 환경 변화 연구와 교육을 위한 핵심 자원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합니다.
장기적 비전
- 데이터의 장기 보존을 위한 커뮤니티 중심의 운영 모델 구축
- 한국 데이터를 Neotoma Paleoecology Database 등 국제 플랫폼과 연계
-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데이터 공유 문화 조성
- 표준화된 데이터를 통해 지역 간 및 글로벌 비교 가능성 확보

제주도 동수악 분화구 습지에서 코어 채취 중
(채취일: 2025년 3월 30일)
[사진 제공: 박준범]
(채취일: 2025년 3월 30일)
[사진 제공: 박준범]